인기 있는 부업 중 하나인 해외구매대행 사업을 시작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들을 공개한다. 해외구매대행 사업을 시작하기로 마음먹었다면 우선 첫 번째로 할 일은 '사업자등록'이다.
사업자등록이란?
사업개시 사실을 관할 세무서에 신청하고 사업자 등록번호를 발급하는 절차이며 모든 사업자는 필수로 신청해야 한다. 영리 목적이든 비영리 목적이든 관계없이 사업상 독립적으로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는 자, 그리고 사업소득이 있는 거주자는 모두 사업자등록을 신청해야 한다.
개인사업자 vs 법인사업자의 차이
개인사업자 : 사업자 = 사업의 주체
법인사업자 : 사업체인 법인이 주체
개인사업자 : 사업 과정에서 발생한 소득과 부채가 모두 개인 명의로 부과
법인사업자 : 사업 과정에서 발생한 소득과 부채가 사업자가 아닌 법인에 귀속
개인사업자 : 의사결정, 자금 운용을 개인이 자유롭게 결정하되 전적인 책임을 져야 함
법인사업자 : 운영 결과 및 법적 책임이 개인보단 제한돼있음
소규모 사업 유지 및 단순 운영으로 실속 챙기려면 개인사업자
사업의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장할 목적이 있으며 대외 공신력 확보가 목표라면 법인사업자
해외구매대행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은 개인사업자로 신청하면 된다.
간이과세자 vs 일반과세자의 차이
간이과세자 : 연 매출액 4,800만 원 이상 ~ 1억 5,000만 원 미만
일반과세자 : 연 매출액 1억 5,000만원 이상
간이과세자 : 세금계산서 발행 불가
일반과세자 : 세금계산서 의무발행
이 역시 간이과세자로 신청하면 된다.
해외구매대행 사업자등록 신청하기
https://www.hometax.go.kr/ 국세청 홈택스에 들어가서 신청/제출 항목의 사업자등록신청(개인) 클릭 → * 표시된 부분 모두 필히 기재. 이때 상호명(단체명)은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이름과 동일하지 않아도 되니 참고하자. 그대로 주민번호, 성명(대표자) 작성 → 국세정보문자수신동의 / 국세정보이메일 수신동의 동의함 체크 → 사업장(단체) 소재지의 경우 본인의 사업장이 주민등록등본상 주소지와 동일할 경우 '여', 다르면 '부' 클릭. 본인은 동일하게 등록했기 때문에 '여'로 표시('여'로 표시하면 이후 자동으로 주소가 입력되니 참고) → 주소이전 시 사업장 소재지 자동이전 동의함 체크.
업종 선택에서 업종 입력/수정 클릭 →주 업종 선택 후 업종코드 검색 클릭 → 업종코드 525105 검색해서 등록 → 부업종 선택 후 업종코드 검색 클릭 → 525103 검색해서 등록 → 위와 같이 제대로 선택 및 등록됐는지 확인
사업장 정보 입력에서 개업 일자 지정(본인은 등록하는 날짜 기준으로 개업) → 사업장 구분은 본인 소유 체크 → 공동사업자 선정 없음 체크 → 사업자 유형 간이 체크
선택사항 창업자 멘토링 서비스는 본인 선택하여 신청 → 서류 송달장소 주민등록상 주소 체크 → 제출서류 첨부할 것 없어서 다음 클릭 → 최종 확인 창에서 제출서류 확인하기 클릭 → 신청서 제출하기 클릭
여기까지 해외구매대행 사업을 위한 첫 번째 단계인 개인사업자등록증 신청하는 방법을 알아봤다. 생각보다 별거 아니라고 느꼈다면 다음 단계도 잘 따라올 수 있을 것이다. 다음 시간엔 홈택스에 현금영수증 가맹점 신청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뤄보겠다. N잡을 꿈 꾸는 모든 이들 이어 파이팅!
'해외구매대행 > 사업 준비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년 최신판 해외구매대행 사업 (6) - 홈택스 사업자등록 방법 (0) | 2022.09.12 |
---|---|
22년 최신판 해외구매대행 사업 (5) - 전자세금용 공인인증서 만드는 방법 (0) | 2022.09.11 |
22년 최신판 해외구매대행 사업 (4) - 개인사업자 국민카드 추천 (0) | 2022.09.10 |
22년 최신판 해외구매대행 사업 (3) - 개인사업자 통장 개설하는 방법 (0) | 2022.09.09 |
22년 최신판 해외구매대행 사업 (2) - 홈택스 현금영수증 가맹점 신청하는 방법 (0) | 2022.09.08 |
댓글